본문으로 이동

삼성전자, IAA 모빌리티 2023에서 오토모티브 혁신을 위한 비전 제시

첨단 반도체 솔루션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모빌리티 생태계 혁신에 기여

  • 메일
삼성전자 반도체는 9월 독일 뮌헨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자동차 전시회 중 하나인 IAA 모빌리티2023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IAA 모빌리티는 전통적으로 자동차 제조업체들을 위한 행사였지만, 자동차의 기술 집약도가 높아지면서 삼성과 같은 반도체 기업의 참여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로 올해 행사에는 삼성전자가 처음으로 참가하여 첨단 반도체 제품과 기술을 통해 오토모티브 산업의 혁신에 기여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Server on Wheels” 시대를 위한 메모리 솔루션 삼성전자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중앙 게이트웨이, 텔레매틱스, 자율주행 등 주요 응용처 발전에 발맞추어 서버급의 고성능 메모리 제품이 차량에 탑재되는 ' Server on Wheels' 시대로의 전환에 필요한 메모리 솔루션 라인업을 선보였다. 고대역폭 저전력의 메모리 제품이 필요한 자율주행 및 ADAS 를 위해 최대 8,533Mb/s의 고성능 차량용 LPDDR5X를 전시했다. 최대 16GB의 대용량을 지원하는 LPDDR5X 는 IVI 시스템에서도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차량 내 다양한 도메인 간의 원활한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는 중앙 게이트웨이를 위해 전력 효율을 높이고 고속,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최적화된 eMMC, 오토 SSD 솔루션을 LPDDR5X 와 함께 소개했다. 또한 데이터 가속을 위한 GDDR7, ADAS 와 IVI 를 위한 스토리지 솔루션인 UFS 3.1, 고화질 매핑을 위한 차량용 SSD 도 함께 선보였다. 특히, 글로벌 자동차 신뢰성 표준인 AEC-Q100 인증을 획득하여 차량용 반도체에 특히 중요한 요건인 -40°C~125°C의 극한 온도에서도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함을 소개하기도 했다. 몰입감 넘치는 차량 내 경험 향상을 위한 프로세서 자율주행과 ADAS, IVI 등의 응용처를 위한 프로세싱 성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짐에 따라, 삼성전자는 새로운 주행 경험은 물론 안전성 강화를 가능하게 하는 엑시노스 오토 V 시리즈를 선보였다. 엑시노스 오토 V920은 차세대 IVI 시스템에 강력한 성능과 AI 기능을 제공한다. 트라이 클러스터 아키텍처를 적용한 10개의 강력한 CPU 코어가 탑재된 이 제품은 이전 모델에 비해 CPU 성능이 70% 향상되었다. 엑시노스 오토 V920은 최대 6개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차량내 여러 화면에 동시 연결을 지원하며, AMD RDNA™ 2 아키텍처에 기반한 Xclipse GPU를 탑재하여 몰입감 있는 그래픽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엑시노스 오토 V920은 듀얼 코어 NPU를 탑재하여 이전 제품 대비 약 2.7배에 달하는 최대 23.1 TOPS 성능을 지원하는 AI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강력한 오디오 처리 엔진이 탑재된 최신 HiFi5 코어가 장착되어, 외부 오디오 DSP 없이도 몰입감 넘치는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퀄라이제이션, 능동 소음 제거(ANC), 노면 소음 제거(RNC) 등을 지원해 음악, 영화, 게임은 물론 차량 내 통신에서도 뛰어난 오디오 품질을 제공한다. 최첨단 5나노 공정 기반의 엑시노스 오토 V920은 오토모티브 혁신을 위한 대표 제품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더 발전된 SoC 제품들의 출시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운전자 시야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센서 삼성전자는 차량 내 카메라 솔루션 데모를 통해 아이소셀 오토 이미지 센서가 안전을 위한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MS)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시스템은 글로벌 셔터와 근적외선 감지 기술을 적용, 운전자의 얼굴과 시선 감지를 통해 얼굴의 방향과 눈을 감는지 여부는 물론 하품과 기타 피로 징후 등을 감지한다. 방문객들은 운전석 위치에 서서 사이드 미러를 보고, 하품을 하거나 눈을 감는 등 다양한 동작을 해보며, 시스템이 자신의 얼굴을 90Hz 로 캡쳐하며 현재 상태, 시선의 방향 등을 분석하고 3D 시뮬레이션으로 보여주는 것을 직접 체험했다. 함께 전시된 아이소셀 1H1 센서는 오토모티브를 위한 CornerPixel™ 기술이 적용 되어 120dB HDR(High Dynamic Range)을 구현하고 LED 깜박임을 완화하며 모션 아티팩트를 줄여 더욱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아이소셀의 DTI (Deep Trench Isolation) 기술은 동일한 풀 웰(Full Well) 용량에 대해 기생 정전 용량과 누화를 줄여 변환 이득을 극대화하여 저조도 성능을 개선한다. 밝은 곳에서는 고밀도 정전 용량이 픽셀에서 넘쳐나는 전자를 최대한 많이 저장하여 포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풀 웰 용량과 저조도 신호 대 잡음비(SNR)를 향상시킨다. CornerPixel™, 아이소셀, 인픽셀 고밀도 정전용량의 조합을 통해 삼성은 한 번의 노출로 120dB HDR을 달성할 수 있다.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파운드리 삼성전자는 오토모티브를 위한 파운드리 서비스의 주요 IP 및 설계 인프라 역량은 물론 향후 계획을 선보였다. 삼성 파운드리는 공정 기술부터 자동차 설계 인프라 및 패키징 솔루션에 이르는 오토모티브 특화 솔루션으로 모빌리티 혁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ADAS와 자율주행 솔루션이 진화함에 따라 SoC 를 위한 첨단 공정 적용이 필요한데, 삼성전자의 14 나노 공정은 AG1을 지원할 수 있고 8나노 및 5나노 공정은 AG2를 지원한다. 칩렛 솔루션의 경우 UCIe와 같은 D2D IP는 8나노 및 5나노에서 개발 중이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기존 파운드리 솔루션 외에도 향후 공정과 생산시설 준비 상황을 함께 소개했다. 2025년까지 4나노 공정을, 2026년까지 2나노 공정을 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한국과 미국 텍사스의 팹(FAB)을 통해 목표를 달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제조 역량을 통해 ADAS, AD 및 IVI 등 고성능 및 신뢰성이 요구되는 차량용 반도체 솔루션을 더욱 발전시킬 것이다. 도로 위를 선명하게 비추는 차세대 LED 삼성전자는 차세대 주행 경험을 위해 필수적인 조명 시스템의 발전을 위한 첨단 LED 솔루션을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자동차 회사들이 주목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후미등을 위해 미니 LED솔루션을 선보였다. 미니LED는 후미등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고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제공하기를 원하는 완성차 업체들의 요구 사항에 완벽하게 부합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가로 및 세로 크기가 모두 1mm 미만으로 기존 LED의 1/9 크기인 미니 LED 는 이 작은 크기 덕분에 초슬림 후미등 디자인이 가능하다. 또한 크기가 작아지면 광학 거리가 10mm 미만으로 짧아져 전체 램프 부피가 줄어든다. 또한 첨단 어댑티브 드라이빙 빔(ADB) 솔루션인 PixCell LED도 함께 소개됐다. 100개 이상의 초소형 셀을 단일 LED 칩에 통합한 PixCell LED는 25마이크로미터 셀 간격으로 작은 발광 표면(LES)을 형성한다. 발광 표면이 작아 전체 모듈 크기가 줄어들고 기본 광학 장치가 필요 없어 광학 시스템이 단순화된다. 이를 통해 제조업체는 세련되고 스타일리시한 미래형 차량에 적합한 더 얇고 에너지 효율적인 램프를 만들 수 있다. 기존 ADB 헤드램프와 달리 PixCell LED의 발광 표면이 작아 기본 광학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직접 투사가 가능하다. 헤드램프 모듈에 PixCell LED를 적용하면 부피가 줄어들어 생산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램프가 훨씬 가벼워져 최신 디자인 트렌드에도 부합한다. 미래 자동차 산업을 혁신하는 비전 첨단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자율주행에 이르기까지 자동차는 점점 더 전동화되고 디지털화되고 있다. 이번 IAA 모빌리티 2023에 전시된 제품과 기술은 이러한 변화 속 삼성전자 반도체의 역할을 보여준다. 삼성전자는 첨단 반도체 제품과 기술을 통해 오토모티브 업계가 이러한 혁신을 가속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오토모티브 업계가 새로운 미래를 열어 나가는데 핵심적인 부품을 제공함은 물론 고객사 및 협력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사람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즐거운 모빌리티 경험을 선사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제품의 장점, 구성 요소, 성능, 가용성 및 기능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문서에 제공된 모든 기능, 특징, 사양 및 기타 제품 정보는 사전 통지나 의무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모든 제품 사양은 내부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며 사용자의 시스템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제 성능은 사용 조건 및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